데이터 처리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
FONT SIZE
|
VIEW PRINT
|
ENGLISH
학회소개
회장 및 이사장 인사말
미션 및 비전
역대회장, 이사장
연혁
조직도
임원
회칙 및 규정집
사무국
홍보물
학술행사
국내외 학술행사일정
지난 학술행사
사전등록확인
춘계학술대회
추계학술대회
연수교육
공통역량교육
분자병리교육
전공의 성취도 평가
월례집담회
후원업체 참여신청
기타
학회지
교육
병리학 학습목표집
전공의 연차별 수련 교과과정
전공의 기록
전문의 고시 응시 자격 기준
전공의 E-PORTFOLIO
보험
공지사항
신의료관련게시판
자료실
자유게시판
정도관리/인증
정도관리위원회
인증위원회
질관리시스템
비의료기관 숙련도평가 사업신청
지회/연구회
자료실
일반
교육
보험
진료/판독지침
관련 사이트
회원공간
내부 공지사항
타기관 공지사항
언론보도/의료·과학계소식
자유게시판
회원검색
회원동정
구인구직
뉴스레터
갤러리
토론방
Q&A
FAQ
병리학 학습목표집
전공의 연차별 수련 교과과정
전공의 기록
전문의 고시 응시 자격 기준
전공의 E-PORTFOLIO
병리학 학습목표집
세포생물학
유전체를 구성하는 핵산과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세포막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세포의 물질 합성과 노폐물 처리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세포의 에너지 생산과 사멸과 관련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주요 세포신호전달경로를 설명할 수 있다.
세포외기질의 주요 구성 성분과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세포주기의 구성과 각 단계의 중요한 조절인자를 설명할 수 있다.
줄기세포의 종류와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스트레스와 유해자극에 대한 세포의 반응
세포 손상의 원인 및 병리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자유라디칼을 정의하고 세포손상 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세포적응과 세포사의 기전을 구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세포적응의 종류를 현미경소견에 따라 구별하고, 각각의 병리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괴사와 세포자멸사를 현미경소견에 따라 구별하고, 그 근거를 설명할 수 있다.
세포자멸사 유도 인자와 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세포손상의 결과를 열거할 수 있다.
세포 손상, 적응 및 세포사 관련 수술 또는 생검 조직에서 병리슬라이드를 보고 어떤 유형에 해당하는지 정의하고, 그 근거를 설명할 수 있다.
세포 내부 혹은 조직 축적물 종류 형태학적 소견에 따라 구별하고, 각각의 병리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체액 및 혈류역동 장애
여출액(transudate)과 삼출액(exudate)의 생성기전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부종의 일반병인과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허혈, 충혈, 울혈, 혈행 정지의 차이와 각각의 원인과 병태를 설명할 수 있다.
만성수동성 울혈시 간, 폐, 비장의 형태학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출혈의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혈전증의 원인과 병태를 설명할 수 있다.
색전증을 정의하고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경색증을 정의하고,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적색경색과 백색경색이 유발되는 조건들과 그 예를 열거할 수 있다.
패혈증 쇼크(septic shock)의 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염증과 수복
급성염증의 병태생리를 혈관 및 백혈구 반응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급성염증에 관여하는 세포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 지 나열하고 각각의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염증에 관여하는 세포들이 염증부위로 이동할 때 일어나는 세포변동을 설명할 수 있다.
백혈구가 세균을 제거하는 탐식작용이 어떻게 일어나는 지 설명할 수 있다.
염증매개물질의 작용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급성염증의 형태특성을 질환의 발생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만성염증의 원인과 형태특성을 인체질환의 발생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육아종염증의 원인과 형태특성을 인체질환의 발생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결핵, 사르코이드증)
시기별 조직재생 과정과 육아조직의 형태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일차와 이차 의도에 의한 상처 치유를 설명할 수 있다.
체세포를 재생 능력에 따라 분류하고 그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상처수복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병적인 상처수복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 지 나열할 수 있다.
면역질환
과민반응을 발생기전에 따라 분류하고 각 유형별 질환을 1가지 이상 나열할 수 있다.
면역관용의 기전을 중심면역관용과 말초면역관용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자가면역질환의 발생 기전에서 유전적 소인과 감염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전신홍반루푸스, 쇼그렌증후군, 전신경화증 등)의 특징을 설명한다.
장기이식의 거부반응의 기전에 대해 세포매개 거부와 항체매개 거부로 나누어 설명한다.
공여자의 항원을 수여자의 T세포가 인지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신이식거부의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이식편대숙주병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일차적 면역결핍증에 속하는 질환을 분류하고 그 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의 발생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 환자에서 흔히 관찰되는 기회감염이나 종양을 열거할 수 있다.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HIV)의 3가지 전파경로를 설명할 수 있다.
아밀로이드증(amyloidosis)의 발생기전을 이해하고 분류할 수 있다.
종양
종양의 명명법을 설명할 수 있다.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종양유전자, 종양억제유전자, 세포자멸사 조절이상, DNA 복구조절이상 등으로 암의 발생기전을 설명하고 각각 대표적인 암을 설명할 수 있다.
종양의 발생과 성장에서 면역과 염증의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발암물질에 의한 종양의 발생을 설명할 수 있다.
종양의 다양한 임상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
종양의 등급과 병기를 설명할 수 있다.
암진단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감염질환
감염원의 분류와 각각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감염원의 진단을 위한 특수 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
미생물의 침입경로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미생물이 질병을 일으키는 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감염에 의한 조직반응의 유형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바이러스에 의한 일시적인 감염증의 대표적인 종류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잠재성 감염증의 종류와 형태학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인체 발생 암종의 원인 바이러스를 열거하고 형태학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세균질환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방선균 농양의 형태학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결핵의 발병기전과 형태학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대표적인 심부진균증의 종류와 형태학적 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원충류 질환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대표적인 연충질환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환경 및 영양질환
독성물질이 인체에 흡수되는 경로 및 작용, 대사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현대 사회와 환경이 인체의 질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대기오염의 원인물질 및 이들 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병리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흡연 및 음주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치료약물에 의한 인체 손상과 약물남용에 의한 인체반응을 설명할 수 있다.
물리적 인자에 의한 손상을 분류하고 각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방사선에 의한 인체 손상의 병리기전 및 형태 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영양결핍을 분류하고 병리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비만의 병리기전 및 비만으로 인한 질병을 설명할 수 있다.
음식물이 악성종양 및 대사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유전질환
유전성(hereditary), 가족성(familial), 선천성(congenital)의 정의 및 유전학에서 흔히 쓰이는 용어를 이해할 수 있다.
돌연변이를 정의하고 종류를(point mutation, deletion, insertion, trinucleotide mutation 등) 설명할 수 있다.
멘델 유전 방식을 분류하고 및 비멘델 유전병의 유전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
보통염색체 우성 및 열성 유전병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반성유전병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특정 단백질 기능이상 유전질환을 분류하고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마르팡증후군, 가족고콜레스테롤혈증, 글리코겐축적증).
삼염기반복 돌연변이 유전병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여린X증후군, 헌팅톤증후군)
핵형(karyotype)을 기술하는 원칙을 알고, 핵형분석결과를 보고 염색체의 수 및 구조 이상을 설명할 수 있다.
염색체 이상으로 발생하는 질환의 핵형을 기술하고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다운증후군, 터너증후군, 클라인펠터증후군).
각 염색체 이상 질환의 임상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다운증후군, 에드워드 증후군, 파타우증후군, 터너증후군, 클라인펠터증후군).
성결정의 기준을 유전자, 생식샘, 외부생식기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사춘기발달이상).
진성남녀한몸증 및 거짓남녀한몸증을 설명할 수 있다.
유전병을 진단하는데 이용되는 방법들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신생아와 소아질환
미숙아의 정의, 원인, 문제점을 설명할 수 있다.
유리질막병의 원인, 병인과 흔한 합병증을 설명할 수 있다.
자궁내성장지연의 원인을 태아, 산모, 태반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형태발생에서 기형과 변형, 파괴의 차이를 구분하고 원인이 되는 인자와 사례를 들 수 있다.
배아기가 선천기형발생에 중요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주산기 감염을 자궁경부를 통한 상행성 감염과 태반을 통한 혈행성 감염으로 나누어 비교 설명할 수 있다.
면역수종의 발생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비면역수종을 일으키는 대표적 질환을 기술할 수 있다.
영아급사증후군의 정의 및 위험인자를 설명할 수 있다.
소아기에 발생하는 종양과 어른에서 발생하는 종양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기형종의 정의와 분류를 설명할 수 있다.
각 소아 악성종양(신경모세포종, 신장모세포종, 망막모세포종)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