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처리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
FONT SIZE
|
VIEW PRINT
|
ENGLISH
학회소개
회장 및 이사장 인사말
미션 및 비전
역대회장, 이사장
연혁
조직도
임원
회칙 및 규정집
사무국
홍보물
학술행사
국내외 학술행사일정
지난 학술행사
사전등록확인
춘계학술대회
추계학술대회
연수교육
공통역량교육
분자병리교육
전공의 성취도 평가
월례집담회
후원업체 참여신청
기타
학회지
교육
병리학 학습목표집
전공의 연차별 수련 교과과정
전공의 기록
전문의 고시 응시 자격 기준
전공의 E-PORTFOLIO
보험
공지사항
신의료관련게시판
자료실
자유게시판
정도관리/인증
정도관리위원회
인증위원회
질관리시스템
비의료기관 숙련도평가 사업신청
지회/연구회
자료실
일반
교육
보험
진료/판독지침
관련 사이트
회원공간
내부 공지사항
타기관 공지사항
언론보도/의료·과학계소식
자유게시판
회원검색
회원동정
구인구직
뉴스레터
갤러리
토론방
Q&A
FAQ
병리학 학습목표집
전공의 연차별 수련 교과과정
전공의 기록
전문의 고시 응시 자격 기준
전공의 E-PORTFOLIO
병리학 학습목표집
심장과 혈관질환
심장의 정상 해부학적 구조를 이해하고 비정상심장의 구조적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좌심장 및 우심장기능상실의 발병기전과 이에 대한 보상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심장기형을 좌-우/우-좌 단락형과 폐쇄형으로 나누어 분류하고 육안소견으로 감별진단 할 수 있다.
허혈심장질환의 발병기전, 병리소견, 합병증을 설명할 수 있다.
판막심장질환의 원인에 따라 발병기전, 병리소견, 임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심근병증을 분류하고 각각의 원인, 형태, 임상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심장막염의 발병기전 및 병리소견을 임상소견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심장 이식 후 거부반응의 종류와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심장에서 생길 수 있는 양성 및 악성 종양을 열거하고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죽경화증의 위험인자 및 발병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죽경화증의 병리소견을 임상소견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동맥류와 대동맥박리의 발병기전과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혈관염을 침범하는 혈관에 따라 분류하고 각각의 발병기전 및 병리소견을 임상소견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혈관에서 유래하는 종양을 양성과 악성으로 분류하고 각 종양의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조혈계, 림프절과 백혈구, 비장과 가슴샘질환
조혈세포의 분화와 성숙과정을 도식화하여 설명할 수 있다.
빈혈의 원인에 따른 분류와 특징적인 혈구 도말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응고인자의 역할을 연관 질환과 함께 설명할 수 있다.
파종성 혈관내응고의 임상적, 병리학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만성비특이림프절염의 병리학적 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결핵, 톡소포자충림프절염, 아급성괴사림프절염의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B 림프구의 분화 및 항체 생산까지의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할 수 있다.
성숙 B림프종의 진단분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호지킨림프종의 분류 및 조직학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조직구종양의 분류 및 랑게르한스세포종의 특징적 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골수세포 종양의 진단분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형질세포종양의 진단분류 개념 및 병태생리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비장이 커질 수 있는 원인질환을 분류할 수 있다.
가슴샘종양을 빈도순으로 나열할 수 있다.
호흡기계 및 세로칸질환
무기폐를 정의하고 병태생리를 설명할 수 있다.
폐울혈과 폐부종의 발병기전 및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발병기전, 병리소견 및 임상경과를 설명할 수 있다.
폐고혈압, 폐동맥색전증, 출혈, 경색증의 병태생리를 설명할 수 있다.
폐쇄폐질환과 사이질폐렴의 병리소견, 폐기능검사, 방사선소견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폐공기증, 만성기관지염, 천식, 기관지확장증 등의 폐쇄폐질환의 병태생리를 설명할 수 있다.
보통사이질폐렴과 비특이사이질 폐렴의 병리소견, 발병기전 및 임상소견을 방사선소견과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탄광부폐먼지증, 석면증 등 환경 및 직업 관련 폐질환의 병리소견 및 임상경과를 설명할 수 있다.
세균폐렴 및 바이러스 폐렴의 흔한 원인균과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폐결핵의 발병 기전, 임상분류 및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폐암의 위험인자와 분자유전학적 발병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폐암을 조직학적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발병기전 및 병리소견을 임상적 특징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폐암 치료방침 결정을 위한 분자병리검사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세로칸의 각 칸별 호발종양을 설명할 수 있다.
두경부질환
치아우식증의 발생기전을 이해할 수 있다.
구강의 전암병변과 흔한 암종을 열거하고 비교할 수 있다.
침샘에 발생하는 비종양성 병변을 설명할 수 있다.
침샘에서 발생하는 양성, 악성 상피성 종양을 분류한다.
비강과 상기도에 발생하는 괴사성 병변을 설명할 수 있다.
코인두암종과 입인두암종을 설명할 수 있다.
후두에 발생하는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에 관하여 설명할 수 있다.
목에 발생하는 아가미틈새낭종(branchial cleft cyst)과 갑상여관낭(thyroglossal duct cyst)에 대해서 비교 설명할 수 있다.
위장관질환
메켈게실의 발생과 이소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거대결장의 발병기전, 병리소견 및 임상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
식도폐쇄가 발생하는 병인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식도염의 원인을 열거할 수 있다.
바렛식도를 정의하고 임상적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식도상피암종을 조직학적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발병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급성위염과 만성위염의 원인과 발병기전을 구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소화궤양의 원인, 발병기전,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조기위암과 진행위암을 정의하고 구분할 수 있다.
위창자기질종양(GIST)의 기원세포, 유전자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흡수장애의 원인, 기전, 임상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
감염성 및 염증성 장질환의 발병기전, 병리소견, 임상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
허혈결장염의 병리소견 및 유사 결장염과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궤양잘록창자염과 크론병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결장폴립을 형태에 따라 분류하고 암과의 관련성을 설명할 수 있다.
큰창자암의 단계적 발암경로 두 가지에서 관찰되는 분자유전변화 및 병리소견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급성충수염의 발병기전, 병리소견, 임상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
복막거짓점액종의 원인과 악성도를 설명할 수 있다.
복막염의 발병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간과 담관계질환
간손상 시 관찰되는 주요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황달의 정의와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간경화증을 정의하고 흔한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간독성 약물과 독소에 의한 간손상의 형태학적 다양성을 설명할 수 있다.
간염바이러스의 종류를 열거하고 각각의 감염경로와 예후를 설명할 수 있다.
급성과 만성바이러스간염의 병리소견을 비교 설명할 수 있다.
자가면역간염의 발병기전, 병리소견 및 임상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알코올간질환의 발병기전과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비알코올지방간질환의 발병기전과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원발담관간경화증과 원발경화담관염의 병리소견과 임상소견을 비교 설명할 수 있다.
간세포샘종의 분류와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간세포암종의 발생위험 인자와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담관암종의 발생위험 인자와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담석의 분류, 형성기전과 유발인자를 열거하고, 담낭염의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담낭암종의 발생위험 인자와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췌장질환
췌장의 정상 구조, 구성 세포 및 기능을 비교 설명할 수 있다.
이소췌장이 잘 생기는 위치를 나열한다.
급성췌장염의 원인과 형태학적 소견을 기술한다.
만성췌장염의 원인과 형태학적 소견을 기술한다.
췌장의 암종을 기원 세포에 따라 분류하고 호발 부위를 설명할 수 있다.
췌장의 낭성 종양의 종류를 나열하고 가성 낭종과 병리 감별점을 설명할 수 있다.
췌장의 신경내분비종양의 특징적 임상 증상을 종양세포의 기능과 연관하여 설명할 수 있다.
당뇨병의 정의와 1형과 2형 당뇨병의 병태생리적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당뇨병의 합병증의 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당뇨병의 주요 합병증의 형태 손상 소견을 발병 장기별로 설명할 수 있다.(예 : 혈관, 신장)
신장질환
신장 낭성질환의 종류, 병인, 유전방식을 파악하고, 육안소견, 현미경소견 특징을 감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신염증후군, 신증후군, 신부전증의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사구체 질환을 진단하는데 이용되는 병리 진단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사구체 질환을 분류하고, 소아와 성인에서의 발병빈도 순으로 나열할 수 있다.
사구체 손상의 면역, 비 면역 기전을 기술하고, 각 기전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사구체 질환을 나열할 수 있다.
급성 사구체신염(급성 사슬알균감염후사구체신염), 진행초승달사구체신염, 막사구체신염, 미소변화질환, 초점분절사구체경화증, 막증식사구체신염, IgA 신병증, 전신질환을 동반하는 사구체질환(루프스신염, 헤노호-쇤라인자색반증, 당뇨신병증)의 임상소견, 광학현미경, 면역형광현미경, 전자현미경 소견, 예후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급성신세관손상의 원인과 기전을 기술하고, 허혈성 유형과 신독성 유형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세관사이질신장염에 속하는 질환을 분류하고 설명할 수 있다.
신우신염의 원인, 병인, 동반되는 소인을 열거하고 병리 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약과 독성 물질에 의한 세관사이질신장염의 임상, 병리 특징을 설명한다.
고혈압에 의한 신경화증의 종류와 형태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요로결석증의 종류와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신세포암의 종류를 나열하고 형태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하부요로질환
하부요로의 정상구조를 이해하고 요로상피의 구성을 설명할 수 있다.
요관-신우 이행부 협착의 원인 및 합병증을 설명할 수 있다.
요관폐쇄의 원인을 나열할 수 있다.
경화성후복막섬유증의 호발연령 및 현미경소견을 나열하고 IgG4 관련병과의 관련성을 설명할 수 있다.
요막관기형의 현미경소견 및 요막관에서 발생하는 종양을 설명할 수 있다.
연화판증의 발생기전 및 병리학적 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방광에서 발생하는 종양의 종류를 나열할 수 있다.
요로상피종양의 등급체계를 설명할 수 있다.
요로상피암종의 발생에 기여하는 중요 요인들을 나열할 수 있다.
요로상피암종의 발병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 변화들을 나열할 수 있다.
방광경부의 폐쇄를 유발하는 중요 요인들을 나열할 수 있다.
요도염의 주요 원인들을 설명할 수 있다.
남성생식계질환
전립샘염의 중요원인을 3개 이상 열거할 수 있다.
전립샘암의 병인을 설명할 수 있다.
전립샘을 해부학적으로 구분하고, 전립샘염과 전립샘 비대 및 암종이 잘 발생하는 위치를 이해할 수 있다.
전립샘암의 병기를 판단할 수 있다.
전립샘암의 형태학적 소견을 기술할 수 있다.
전립샘암의 조기진단과 관리에 도움이 되는 종양표식자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잠복고환증 (cryptorchidism)의 원인과 병리소견을 이해할 수 있다.
고환에 발생하는 염증질환을 원인에 따라 분류하고, 임상적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
고환에 발생하는 생식세포종양을 분류하고 호발연령, 임상양상을 기술할 수 있다.
정상피종(seminoma)의 호발 연령과 조직학적 특성을 기술할 수 있다.
생식세포종양과 관련된 종양표지자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고환의 생식세포 종양의 전이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음경에 발생하는 선천성 기형의 종류를 이해할 수 있다.
음경의 전암성 병변의 분류와 임상특징 및 형태학적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음경 암종의 발생기전 및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여성생식계질환
여성생식기의 감염이 일어날 수 있는 경우와 감염 원인균에 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자궁질 세포도말의 진단원리와 진단 가능한 질환에 대하여 설명하고, 세포진단에 사용하는 베데스타분류의 필요성에 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자궁목의 상피내병변과 자궁암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자궁목의 저등급과 고등급상피내 병변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자궁목의 상피에 생기는 종양성 병변과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의 관계에 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자궁샘근육증의 발생기전을 설명할 수 있고, 이 환자들의 임상소견과 연관지을 수 있다.
자궁에 발생하는 육종의 종류를 열거하고 각각의 종양의 기원을 설명할 수 있다.
자궁내막암종과 생식호르몬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정상임신과 포상기태임신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자궁내막증의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는 가설들을 설명할 수 있다.
자궁내막증이 잘 생기는 부위와 부위에 따른 임상증상과의 연관성을 설명할 수 있다.
난소종양의 종류를 세포의 기원에 따라 분류하여 설명할 수 있다.
난소의 경계성 종양의 공통적인 임상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생식세포에서 기원하는 난소종양들을 열거하고, 각각을 정상 생식세포의 발생과정과 연관지을 수 있다.
유방질환
유방의 정상구조를 이해한다.
유방 종양의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양성과 악성 종양을 분류할 수 있다.
유방암종의 발병기전을 이해하고 이를 위험인자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유방암의 분류에 대해 이해한다.
유방의 침습암종을 분자생물학적으로 분류하고 표적치료를 설명할 수 있다.
양성상피병변을 분류하고 유방암 발생위험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섬유선종 (fibroadenoma) 과 엽상종양 (phyllodes tumor)의 형태학적 소견 및 임상양상의 차이점을 기술할 수 있다.
유관내 유두종 (intraductal papilloma)의 호발 연령, 형태학적 소견, 임상 소견을 기술할 수 있다.
유방암의 가장 중요한 예후인자를 이해하고, 유방암의 병기를 결정할 수 있다.
유방의 상피내 암종 (carcinoma in situ)을 분류하고 침윤성 암종과의 관계를 기술할 수 있다.
유소엽암종 (lobular carcinoma)과 관암종 (ductal carcinoma)의 임상 및 형태학적 차이점을 기술할 수 있다.
파제트병 (Paget's disease)의 정의, 특징적인 병리소견과 임상소견을 기술할 수 있다.
여성형 유방 (gynecomastia)의 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내분비계질환
뇌하수체 구성 세포의 종류와 분비호르몬을 설명할 수 있다.
기능성 뇌하수체 종양을 임상양상과 관련 지어 설명할 수 있다.
안장 상부에서 발생하는 낭성 질환과 종양질환의 병태생리를 설명할 수 있다.
갑상샘종대의 다양한 원인을 구별할 수 있다.
여러 종류의 갑상샘염의 임상양상을 파악하고 감별진단하며 그 병리 소견을 이해할 수 있다.
갑상샘의 유두암종, 소포암종 및 수질암종의 병리 소견과 임상 의의를 이해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부갑상샘항진증을 원인에 따라 분류하고 육안 및 현미경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부갑상샘항진증과 저하증의 원인을 설명하고 임상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
쿠싱증후군의 병태생리와 육안 및 미세구조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부신피질부전의 병태생리를 임상 양상과 연관 지어 설명할 수 있다.
부신피질과 수질의 종양을 분류하고 육안과 미세구조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다발내분비샘종양증후을 분류하고 관련 질환 및 발생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송과체에서 발생하는 암과 예후를 설명할 수 있다.
피부질환
피부의 정상구조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피부 질환을 기술하는데 쓰이는 육안소견 용어 가운데 반점, 구진, 결절, 판, 비늘, 가피, 태선화 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피부 질환을 진단할 때 쓰이는 현미경소견 용어 가운데 과각화증, 부각화증, 가시극세포증, 해면화, 공포화, 유두종증, 흑색점모양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멜라닌색소모반의 종류와 조직학적 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악성흑색종과 유사하게 보이는 모반성질환의 종류를 나열하고 감별점을 설명할 수 있다.
악성흑색종을 분류하고 한국인에서 호발하는 악성흑색종의 임상병리학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악성흑색종의 발병 위치에 따라 다른 관련유전자 발현차이를 나열하고 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악성흑색종의 병리조직학적 예후인자를 설명할 수 있다.
표피의 전암성병변의 종류를 나열하고 설명할 수 있다.
표피에서 기원하는 편평세포암종과 기저세포암종의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섬유조직구성종양의 종류를 나열하고 감별할 수 있다.
랑겔한스세포조직구증과 균상식육종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기술하고 진단에 도움되는 표지자를 설명할 수 있다.
표피세포성숙장애 질환의 종류를 나열하고 발병기전과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다형홍반을 유발하는 급성염증성 피부질환을 나열하고 임상 및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건선의 발병기전과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대표적인 수포성질환을 나열하고 발병기전과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골격계, 관절 및 연조직질환
연골무형성증의 병리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불완전골형성증의 아형을 분류하고 병리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골다공증의 발생기전 및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골화석증의 발생기전, 병리 및 임상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파제트병의 정의, 발생기전 및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무기질 항상성의 이상에 의한 질병을 나열하고, 각각의 원인 및 병리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골절의 치유단계 및 치유과정 중 관찰되는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골괴사의 병리기전을 이해하고, 연관된 질환들을 열거할 수 있다.
골수염의 종류를 분류하고 각각의 발생기전과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뼈에 발생하는 종양을 분류할 수 있고, 각 종양별 호발부위, 호발연령 및 병리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관절염의 종류를 분류하고 각각의 발생기전과 병리소견을 설명할 수 있다.
관절에 발생하는 종양들의 병리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연조직 종양을 유형별로 분류할 수 있고, 각각의 병리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연조직 종양의 유전자 전위 및 이상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신경계질환
중추신경계 세포의 병적변화를 세포 종류별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뇌부종과 물뇌증을 발생 기전에 따라 분류하여 설명할 수 있다.
뇌탈출에 따른 증상을 발생하는 부위와 연관지어 설명할 수 있다.
중추신경계의 선천기형을 뇌형성 과정의 이상에 따라 분류하고 해당되는 주요 기형을 열거할 수 있다.
뇌졸중을 혈관폐쇄로 인한 뇌경색과 혈관파열로 인한 뇌출혈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뇌에 생기는 감염성 질환 중 세균성 질환과 바이러스성 질환을 비교하여 임상증상과 병리소견을 연관지어 설명할 수 있다.
전염성 해면모양 뇌병증의 병리기전을 이해하고 해당되는 질병들을 나열할 수 있다.
다발성경화증의 병리기전을 이해하고 임상증상을 연관지어 설명할 수 있다.
신경퇴행질환을 단백병증에 따라 분류하고 질병을 나열할 수 있다.
신경퇴행질환에서 치매, 파킨슨증, 운동실조 등의 임상증상을 침범하는 부위와 연관지어 설명할 수 있다.
근육위축 가쪽경화증의 침범부위와 임상증상을 연관지어 설명할 수 있다.
중추신경계에 발생하는 종양을 기원세포에 따라 분류하여 설명할 수 있다.
신경아교종의 악성도를 결정하는 병리소견을 이해하여 광범위 별세포종, 역형성 별세포종, 교모세포종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말초신경과 근육질환
말초신경의 병적변화를 수초 원인과 축삭 원인으로 나누고 형태학적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골격근 병적변화를 근섬유 원인과 지배신경 원인으로 나누어서 설명할 수 있다.
염증성 신경병 중 길랭-바레증후군의 원인과 증상을 일반인에게 설명할 수 있다.
당뇨병에서 말초신경병이 생기는 병리기전과 특징적인 임상증상을 일반인에게 설명할 수 있다.